Contents
![[-] [-]](/moniwiki/imgs/plugin/arrup.png)
![[+] [+]](/moniwiki/imgs/plugin/arrdown.png)
- 1 IT 아키텍처 프레임워크
- 2 원칙 정의
비즈니스가 원하는 상태를 포착하고 분석하였다면, 비즈니스 기회를 IT플랜으로 어떻게 전환하겠는가?
1 IT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#
- 관리 가능한 컨텐츠 목록을 제공함을 목표
- 아키텍처의 범위를 의도적으로 제한한 구조
- 비즈니스 목표 상태 기회를 근거로하여 관련된 IT 인프라 산출물을 구축하기 위한 로드맵을 제공
용어
- 아키텍처: 비즈니스의 목표 상태를 가능하게 해 주는 기업의 정보 인프라를 선정하고 구축하고 수정하고 사용하는데 지침이 되는 한 세트의 완전한 프랜을 의미한다.
- 인프라: 비즈니스를 지원하기 위해 IT가 구축하거나 구매하거나 사용하는 모든 제품과 서비스를 의미
- 데이터: 비즈니스에 관한 주요 사실
- 기능: 비즈니스를 경영하기 위해 필요한 중요한 운영 활동을 의미
- 플랫폼: 데이터와 기능의 생성과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
- 인력: 데이터의 소비자와 제공자, 기능의 사용자 및 기술 운영자를 의미
2 원칙 정의 #
- '원칙'은 IT 의사결정의 가이드라인을 작성하기 위해 비즈니스 목표상태를 요약한 것을 의미
- 비즈니스 목표 상태를 좀 더 일반적인 IT지침서로 전환하기 위해 원칙을 사용
- 원칙은 문구에 대한 논쟁을 최대한 피하고, 신속히 정리하여 공표하는 것이 효과적임
- IT 원칙을 작성하기 위한 가이드라인
- 비즈니스 목표 확인서를 IT 목표 확인서로 전환하라 (데이터, 기능, 플랫폼, 인력에 대해서..)
- 간결하고 쉽게 작성하라. (원칙이 기억되고 사용되어지기를 원한다면 최대한 간결하게! 각 원칙은 한 문장으로 정리. 예, 애플리케이션 기능은 재활용이 가능하다)
- 원칙을 사용하여 회사가 보편 타당하게 유지하고 있는 기본 신조를 전달. (예, 고도로 훈련된 인력은 우리의 핵심 성공 요인이다)
- 원칙을 사용하여 여러분이 개발할 모델과 표준에 비즈니스 제약 조건을 부과하라 (예, 자체개발보다는 구매하는 것이 우선이다)
- 원칙은 한 페이지면 족하다.